본문 바로가기

Home > 열린마당 > 공개SW 소식

공개SW 소식

2015년 11월 08일 (일)

ⓒ 디지털타임스, 이재운 기자 jwlee@dt.co.kr


국가안보 차원서 논의… 미·일 등 규제강화·산업육성 '딜레마' 빠져


무인기(드론) 활용이 늘어나면서 해킹 공격에 관한 위협이 높아지고 있다. 아직 까지 드론 관련 해킹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 안보 차원으로까지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미국과 일본 등 세계 각국 정부도 규제를 강화하는 동시에 산업 진흥책도 펼치는 등 드론 시장 육성과 이에 따른 해킹 공격 위협 속에서 각 국이 딜레마에 빠져 있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드론에 대한 해킹 공격 위협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 해킹 관련 커뮤니티 파워오브커뮤티니(POC)가 지난 5일과 6일에 걸쳐 진행한 POC 2015 콘퍼런스에 참가한 '린후앙'과 '칭양' 등 두 해커는 위성항법장치(GPS) 관련 오픈소스 도구 등을 통해 GPS 신호를 조작해 휴대전화와 자동차는 물론 드론에 대한 GPS 스푸핑 공격을 시연했다. 이번 시연으로 아직 까지 실제로 드론을 해킹해 악용한 사례가 정식 보고된 것은 없지만, 기술적으로는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한 것이다.


드론은 국가 안보 강화를 위해 탄생했다. 미군은 '조용한 암살자'라는 별명을 얻은 드론을 지난 1990년대부터 정찰은과 정밀타격 작전을 실시하며 중동 지역에서 전개 중인 전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왔다. 민간인 오폭과 같은 문제도 발생하기도 했지만 결국 국가 안보를 지키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각각 군사용 드론 개발에 나섰다.


이 같은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의 쓰임새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항공 촬영을 통한 치안 유지나 교통법규 위반 단속, 재난 발생 시 피해 파악과 생존자 발견 등이 대표적인 예다. 미국 방위산업 컨설팅 업체 틸그룹은 세계 드론시장 규모가 지난해 50억달러에서 오는 2020년 1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드론을 통한 테러 위협도 거세지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일본에서 원자력발전소 재가동에 반대하는 한 시민이 드론을 이용해 총리 관저에 방사성 물질을 실은 채 충돌하는 사건이 벌어졌고, 미국에서는 백악관 인근에서 취미용 드론을 조종하던 공무원의 실수로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해 북한이 보낸 정찰용 드론이 발견되면서 국가 안보에 대한 위기감이 조성된 사례가 있다. 부산 해운대구는 드론을 활용해 피서객의 안전을 관리하는 시도를 하다 추락하면서 논란이 일자 이를 보류하기도 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국토교통부가 정한 규정에 따라 서울 시내 대부분에 해당하는 비행금지구역에서 허가 받지 않은 드론은 비행할 수 없고, 최악의 경우 군 당국이 격추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이에 국토부는 지난 5일 방위사업청과 인천에서 민·군 항공안전세미나를 열고 드론에 대한 각종 안전기준에 대해 논의했다. 국토부는 현재 강원 영월 등 전국 4개 지역에 무인비행장치 전용 시범공역을 지정해 각종 실험을 진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 본 내용은 (주)디지털타임스(http://www.dt.co.kr/)의 저작권 동의에 의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출처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5110902101560813001]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