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공개SW 분야 한중일 3국 동북아 협력체를 형성, EU협력체와 같이 전 세계 시장에 대한 글로벌 영향력 확보 타국의 공개SW 성공사례를 확보하고,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우호적 환경 조성, 관련 정보 및 경험 공유
한국공개SW활성화포럼의 유기적 운영을 통한 국내 및 한·중·일 3국간 공개SW활성화 촉진
주요사업내용
한중일 IT 국장급회의 및 동북아공개SW활성화포럼 개최 및 참가 `04년부터 `19년까지 17차에 걸쳐 한·중·일 교차 개최
워킹그룹 기술개발 분과(WG1) : OpenDRIM, 크레커잭, 클라우드 컴퓨팅 TF 인력양성 분과(WG2) : 모델커리큘럼 개발 및 강화, 공개SW인력 수급조사 등 표준화 및 인증 분과(WG3) : 공개SW 관련 레파지토리 구축 및 표준화 적용 · 확산 비즈니스 분과(WG4) : 국내/한중일 기업 간 비즈니스 창출 및 확대를 위한 활동 전자정부 적용 · 확산 TFT : 전자정부 영역에 공개SW 활용 활성화를 위한 대내/외 활동 한중일 ISB/TASK 운영 : 새로운 동북아(한‧중‧일) 협력 아젠다 발굴을 통한 신규사업 추진 및 사업화 강화, 비즈니스 교류의 장 확대 등을 도모
※ 기존의 WG에서 ISB(Innovation Steering Board) 체제로 변환 합의(‘19.10월, 북경회의)
한중일 혁신위원회(Innovation Steering Board) ('19.11.22) [한중일 혁신위원회 회의] ISB 운영 세칙 논의, 세부 소통 채널 협의 등 ('20.01.14) [한일 ISB 회의] 한중일 공개SW 협력 과제(Tsak) 초안 공유 및 논의 ('20.11.13) {한중일 ISB 워크숍](온라인) 한중일 협혁과제(Task) 발표 및 정보교류, 향후 계획 논의
구분 |
개최지 |
날짜 |
세부 내용 |
20차 |
일본(온라인) |
2022.11 |
3국 OSS 트렌드와 혁신 적용 사례 공유 등 번영과 조화를 위한 협력 협의 |
19차 |
중국(온라인) |
2021.12 |
3국 혁신위원회 협력 프로젝트(Task) 지원 및 한중일ISB 중심 협력 강화 |
18차 |
서울 |
2019.11 |
3국 IT국장급/포럼의장 합의문 채택 및 3국 혁신위원회(ISB) 발족을 통해 새로운 협력 아젠다 발굴지원/협의 |
17차 |
요코하마 |
2018.11 |
한중일 정부 간 협력으로 공개SW 개발자 · 기업 등 민간 위주의 컨퍼런스 개최 지원 합의 |
16차 |
천진 |
2017.11 |
공개SW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콘테이너 · 블록체인 · 5G · 자율 |
15차 |
제주 |
2016.11 |
포럼 활동의 지속적 협력 및 AI분야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개SW활용 노력 합의 |
14차 |
도쿄 |
2015.11 |
포럼 활동과 OSS성과에 대한 지속적 협력 합의 |
13차 |
우한 |
2014.11 |
포럼 협력 체계 유지 및 탄력적인 분과 운영, 공개SW기반 융합형 인재 양성 등 합의 |
12차 |
부산 |
2013.11 |
3국간 공개SW 커뮤니티 간 교류, 협력 지원 등 합의 |
11차 |
오키나와 |
2012.11 |
Training Camp 정례화, 3국이 개발된 공개SW 활용 권장 등 합의 |
10차 |
시안 |
2011.10 |
최신 기술동향 공유, Steering Committee/WG4 신설 등 합의 |
9차 |
서울 |
2010.11 |
최신기술 동향 공유, 비즈니스 협력 등 합의 |
8차 |
도쿄 |
2009.10 |
WG활동결과물을 세계 커뮤니티에 확산하도록 협력 등 합의 |
7차 |
우시 |
2008.10 |
최신 기술동향 공유 등 합의 |
6차 |
서울 |
2007.09 |
공개SW생태계 조성 등 합의 |
5차 |
후쿠오카 |
2006.11 |
기업 간 비즈니스 활성화 합의 |
4차 |
천진 |
2006.04 |
3개 WG별 세부 협력과제 합의 |
3차 |
서울 |
2004.12 |
WG별 협력과제와 추진일정 등 합의 |
2차 |
삿포로 |
2004.07 |
협력 추진체계(워킹그룹) 구성 합의 |
1차 |
북경 |
2004.04 |
3국간 협력 기본 방향을 담은 MOU 체결 |
사업 문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공개SW팀
김정아 수석, 043-931-5373 (jakim@nip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