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pen UP -
효율적인 스마트 농장 관리를 위한 공개소프트웨어
□ 현 농업의 현안문제 극복 및 생산성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미래농업 전환 기반을 마련 하기위한 ‘스마트 농업’ 주목
- (정의)농업의 생산과 유통, 소비 전반에 첨단 ICT기술을 접목하여 자동으로 작물의 생육환경을 관리하고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
[표1] 스마트농업 관련 용어 정의
용어 | 정의(출처) |
정밀농업 (Precision Agriculture) |
가장 오래된 개념으로 농경지를 세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적재적소에 물과 양분을 투입하는 농업이며, 최근 위성・항공영상, 센서 등이 상용화되며 현실화되고 있음 (농식품부, 2019) |
스마트팜 (Smart Farm) |
실내 시설농장(온실, 축사)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을 이용해 생육환경이 모니터링 되고 적기에 최적의 영농의사결정이 수행되는 농장을 의미함 (관계부처 합동, 2018) |
디지털농업 (Digital Agriculture) |
농업 관련 전반의 데이터를 디지털화하여 수집・분석하고 공유하는 기술을 의미함 (Wikipedia, 2021) |
스마트파밍 (Smart Farming) |
스마트팜이 노지로 확장되는 개념으로 시설농업과 노지농업을 포괄함 (농식품부・농진청・과기정통부, 2019) |
*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2021-03호「스마트농업」
- 농업이 디지털화되어가고 기계는 기술적으로 정교해지면서 최대의 생산과 이익을 창출하고 농장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운영하기 위한 도구의 필요성 증가
- * 스마트농업(Smart Agriculture) 시장은 연평균 9.8% 성장하여 ’25년에는 220억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측됨(MarketsandMarkets, 2020)
- * 전 세계 농장 관리 소프트웨어 시장은 연평균 14.7%로 성장하여 2021년 21억 달러에서 2026년 42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MarketsandMarkets, 2021)
- 공개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스마트한 농장관리 체계 구축 대응 가능
□ 효율적이고 스마트한 농장 관리를 위한 공개소프트웨어 소개
[표2] 농장 관리 공개소프트웨어
공개SW 명 |
내 용 |
|
farmOS |
설명 |
|
관련 URL |
||
라이선스 |
|
|
예시 화면 |
|
|
LiteFarm |
설명 |
|
관련 URL |
||
라이선스 |
|
|
예시 화면 |
|
|
ERPNext |
설명 |
|
관련 URL |
||
라이선스 |
|
|
예시 화면 |
|
|
Tania |
설명 |
|
관련 URL |
||
라이선스 |
|
|
예시 화면 |
* 출처 : 공식홈페이지 |
|
Ekylibre |
설명 |
|
관련 URL |
||
라이선스 |
|
|
예시 화면 |
|
|
Grownetics |
설명 |
|
관련 URL |
||
라이선스 |
|
|
예시 화면 |
|

.
.
2022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