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오픈소스를 위한 3가지 모델
11월 9일
ⓒIT WORLD, Dries Buytaert | InfoWorld
지속 가능한 오픈소스의 관리법과 일반 상품 관리의 여러 경제 이론을 오픈소스 지속 가능성이라는 주제에 적용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개럿 하딘(공유지의 비극), 죄수의 딜레마, 맨커 올슨(집단 행동), 엘리노어 오스트롬의 자치를 위한 핵심 설계 원칙을 연구하다 보면 몇 가지 일정한 패턴이 드러난다. 이와 같은 패턴을 오픈소스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일반 상품이 실패하는 원인은 집단 행동의 조율 실패다.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확장하고 지속하려면, 오픈소스 커뮤니티는 개별적이고 상호 조율되지 않은 행동에서 협력적이고 조율된 행동으로 전환해야 한다.
2. 협력적이고 조율된 행동은 사유화, 중앙화 또는 자치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세 가지 모두 가능하며 혼합할 수도 있다.
3. 성공적인 사유화, 중앙화, 자치에는 모두 멤버십, 전용 권리, 기여 의무에 대한 명확한 규칙이 필요하다. 또한 이 규칙에는 외부 대리인(중앙화 및 사유화), 사유 대리인(자치) 또는 그룹 자체의 구성원(자치)에 의한 모니터링과 실행이 필요하다.
이 세 가지 개념(중앙화, 사유화, 자치)이 오픈소스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자.
모델 1: 오픈소스의 자치
소규모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경우 커뮤니티 자치를 매우 흔히 볼 수 있다. 구성들이 손쉽게 서로 소통하고, 신뢰할 사람을 파악하고 규범을 공유하고 협업 방법을 협의할 수 있다.
그러나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수록 기여는 더 복잡해지고 조율은 더 어려워진다. 의사소통하고 신뢰를 구축하고 조율 방법을 협의하기도, 이기적 행동을 억제하기도 더 어려워진다. 무임승차의 유혹이 커진다.
구성원의 균등한 참여를 독려하는 강력한 규범을 두고, 대면 이벤트를 마련해서 조율을 성공적으로 확장할 수 있지만 이것 자체도 결국 확장이 어려워진다.
오스트롬은 저서 ‘공유의 비극을 넘어’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평판이 중요하고 각 개인이 협의 이행의 규범을 공유하는, 반복적 환경이라 해도 평판과 공유된 규범만으로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협력적 행동을 생산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장기적으로 지속된 모든 사례에서 확실히 드러나는 특징은 감시와 제재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다.”
필자가 아는 한, 현재 오스트롬의 성공적인 자치를 위한 설계 원칙을 구현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없다.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어떻게 이 원칙을 구현할 수 있을지 이해하기 위해 예시로 돌아가 보자.
두 회사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보상을 공유하는 방법과 그 대가로 필요한 기여의 수준에 관한 규칙을 협상한다. 두 회사는 각자가 얼만큼의 수익을 가져가는지, 그리고 얼만큼을 투자해야 하는지에 관해 상호 동의하는 계약서를 작성한다. 협상 과정에서 협력 방법에 관한 다양한 전략을 제안할 수 있다. 두 회사는 전략에 동의해야 그 이후 단계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두 회사는 스스로 이 계약을 협상하므로 외부 대리인은 필요 없다.
이와 같은 협상은 간단한 일이 아니다. 누구나 알 듯이 100달러를 50:50으로 나누는 게 아니라면 어떤 제안이든 상대방이 거절할 가능성이 높다. 협의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균형은 두 회사가 똑같이 기여하고 보상도 똑같이 나누는 것이다. 게다가 이 균형 상태에 도달하려면 두 회사 중 하나는 매출이 줄어들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동의하기가 어렵게 된다.
관여하는 기업이 셋 이상인 경우 상황은 더욱 복잡해진다. 현재 시점에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이러한 자치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는 방법을 고안하기는 어렵다. 미래에는 블록체인 기반 조율 시스템이 이 문제에 대한 기술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도 있다.
규모가 큰 그룹은 규모가 작은 그룹에 비해 공동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역량이 더 떨어진다. (1) 복잡성이 증가하고 (2) 이익은 줄어들기 때문이다. 더 나은 커뮤니티 조율 시스템이 나올 때까지, 대규모 그룹은 자치를 확장하는 것보다 사유화 또는 중앙화로 전환하는 편이 더 쉽다.
주요 프로젝트가 성장하면서 자발적인 자치 커뮤니티를 벗어나는 일은 과거부터 늘 있는 일이다. 인류 최초의 교역로는 고대 도로였지만 이후 시민들 스스로 차륜 차량에 적합한 대로로 개발했다. 도로의 사유화는 모든 시민들에게 교통 개선으로 이어졌다. 지금 우리는 정부가 이 도로를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에 감사한다.
모델 2: 오픈소스 관리의 사유화
이 모델에서 제조자(Maker)는 수용자(Taker)가 얻을 수 없는 고유한 혜택을 얻는다. 이러한 배타적 권리는 제조자에게 수용자 대비 상업적 우위를 제공하는 동시에 수용자를 포함한 모든 오픈소스 프로젝트 사용자를 위한 긍정적인 사회적 혜택을 창출한다.
예를 들어 모질라는 파이어폭스 상표를 사용하고 구글, 얀덱스, 바이두 같은 검색 엔진과 유료 검색 거래를 체결할 배타적 권리를 가졌다. 모질라는 파이어폭스를 사용해서 수행하는 검색으로부터 2017년에만 5억 4,2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그 결과 모질라는 파이어폭스에 대한 엔지니어링 투자를 지속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많은 사용자와 조직이 매일 혜택을 얻는다.
또 다른 예는 워드프레스(WordPress)를 만드는 회사 오토매틱(Automattic)이다. 오토매틱은 WordPress.com을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사이며 워드프레스의 공식 SaaS 상품을 통해 수억 달러를 벌어들이는 독보적인 위치에 있다. 그 답례로 오토매틱은 오픈소스 워드프레스에 매년 수백만 달러를 투자한다.
최근 몽고DB, 레디스, 코크로치 랩스를 비롯한 오픈소스 기업이 더 엄격한 라이선스를 도입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수용자로 행세하는 공용 클라우드 기업으로부터의 인지된(때로는 실질적) 위협 때문이다.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라이선스를 변경할 수 있는 역량은 사유화에서 비롯된다.
모델 3: 오픈소스 관리의 중앙화
정부와 비슷한 중앙 기관이 오픈소스 기업 A와 B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고 가정해 보자. 목적은 각 기업의 기여에 대해 보상하거나 벌금을 부과하는 것이다. 기업은 협업적 전략에 따르는 경우(제조자가 됨) 25달러를 받고, 비협업적 전략에 따르는 경우(수용자가 됨) 25달러의 벌금을 낸다. 앞서 소개한 수익 행렬을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할 수 있다.
위의 수익 행렬을 가져와서 보상과 벌금을 적용했다. 결과적으로 두 기업 모두 기여에 대한 인센티브를 받고 최적의 균형 상태(두 기업 모두 제조자가 됨)를 달성할 수 있다.
보상에 드는 돈은 멤버십 프로그램, 광고와 같은 다양한 모금 활동을 통해 조달할 수 있다. 그러나 간접적 금전 보상이 더 현실적이다.
이를 구현하는 한 가지 방법이 드루팔(Drupal)의 크레딧 시스템이다. 드루팔의 비영리 조직인 드루팔 어소시에이션(Drupal Association)은 누가 무엇을 기여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각 기여에는 크레딧이 지급되며 크레딧은 제조자에게 시야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많이 기여할수록 Drupal.org(매달 방문자 수 200만 명) 또는 드루팔 컨퍼런스(매년 수천 명이 방문하는 드루팔콘(DrupalCon)) 대한 더 많은 시야를 얻을 수 있다.
드루팔 어소시에이션은 오픈소스 비영리 조직이 제조자와 수용자를 모니터링하고 균형을 조정하는 규제 기관 역할을 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새로운 사례다. 물론 드루팔 어소시에이션은 제조자와 수용자의 균형을 맞추고 드루팔 프로젝트를 위한 더 최적의 균형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고 그렇게 해야 한다.
이 방식에서 중대한 과제는 모니터링의 정확함과 보상(과 벌칙)의 신뢰성이다. 오픈소스 기여는 다양한 형식으로 이뤄지므로 오픈소스 기여를 추적하고 적정한 가치를 메기는 과정은 매우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들며, 당연히 충돌도 많이 발생한다. 더구나 이 중앙화된 정부와 유사한 조직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드는데, 그것 자체도 과제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지속 가능한 오픈소스를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에는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다음 기사에서는 오픈소스 확장과 지속을 위한 구체적인 몇 가지 제안을 살펴볼 예정이다.
※ 본 내용은 한국IDG(주)(http://www.itworld.co.kr)의 저작권 동의에 의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ITWORLD.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번호 | 제목 | 조회수 | 작성 |
---|---|---|---|
공지 | [Open UP 활용가이드] 공개SW 활용 및 개발, 창업, 교육 "Open UP을 활용하세요" | 395207 | 2020-10-27 |
공지 | [Open UP 소개] 공개SW 개발·공유·활용 원스톱 지원 Open UP이 함께합니다 | 385109 | 2020-10-27 |
8732 | 서양 게임시장은 '블루오션'…"공략하려면 그들의 '표준'을 파악하라" | 4664 | 2019-11-13 |
8731 | 지속가능한 오픈소스를 위한 3가지 모델 file | 5293 | 2019-11-12 |
8730 | 국제 리눅스 자격증 시험도 한국어로…LPIC 국내 진출 file | 5251 | 2019-11-10 |
8729 | 레드햇, 쿠버네티스 개발자 경험 확대하는 ‘오픈시프트 4.2’ 선봬 | 4854 | 2019-11-10 |
8728 | 블로그 | 오픈소스 개발자는 총 몇 명일까? | 5291 | 2019-11-10 |
8727 | 더 강력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위한 3가지 제안, "공정성, 혜택, 균형" | 5398 | 2019-11-10 |
8726 | 마이크로소프트 이그나이트 2019 : 개발자가 알아야 할 5가지 소식 | 5006 | 2019-11-10 |
8725 | 구글 “최고의 보안·AI를 갖춘 클라우드는 우리다” | 4633 | 2019-11-10 |
8724 | [주간 OSS 동향 리포트] 디지털 정부혁신, 오픈소스 중심의 개방형 생태계 마련 | 10974 | 2019-11-10 |
8723 | '화가가 된 AI' 밑 그림을 그리면 새 사진이 '짠' | 4453 | 2019-11-06 |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