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me > 열린마당 > 공개SW 소식

공개SW 소식

신한은행·포스코ICT, “오픈소스 없이 혁신 어려워”

OSS관리자 게시글 작성 시각 2019-10-20 14:42:16 게시글 조회수 4446

10월 16일

ⓒ 디지털데일리, 백지영 기자 | jyp@ddaily.co.kr

 

“신기술 역량 확보를 위해선 오픈소스가 필수입니다. 상용 패키지 SW로 커버할 수 없는 부분을 오픈소스로 채우고 있습니다. 다만 오픈소스를 적용하는데 있어 내부적으로 역량을 갖추기엔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16일 서울 코엑스 인터컨티넨탈에서 열린 ‘레드햇 포럼 2019 서울’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김광중 신한은행 ICT기획팀장<사진>은 이같이 말했다. 신행은행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레드햇을 파트너로 채택했다.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통해 컨테이너 플랫폼을 구현했으며, API 관리를 위해선 레드햇 쓰리스케일(3scale)을 도입했다. 신한은행은 오픈소스를 활용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혁신)을 인정받아 이날 열린 레드햇 포럼에서 포스코ICT와 함께 ‘2019  레드햇 이노베이션 어워드 APAC 수상 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김 팀장은 “신한은행의 IT아키텍처 측면에서 세가지 큰 변곡점이 있었는데, 메인프레임에서 유닉스로, 다시 유닉스에서 리눅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및 인프라 정책을 클라우드를 염두에 둔 프라이빗 환경으로 전환한 것”이라며 “금융권의 특성 상 대부분의 서비스가 모놀리틱 아키텍처로 구성돼 있고 여러 규제 때문에 금융권이 상대적으로 신기술, 특히 오픈소스나 클라우에 대한 대응이 늦어졌다”고 운을 떼었다.

 

하지만 4차산업혁명이 대두되고 급변하는 환경에 발빠른 대응이 중요해졌다. IT측면에서도 클라우드 뿐만 아니라 보다 유연한 서비스 운영을 위해 데브옵스, 마이크로서비스아키텍처(MSA) 구현이라는 과제에 직면했다.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규제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해외법인은 퍼블릭 클라우드, 국내는 컨테이너 기반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해 궁극적으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현하는 그림이 그려졌다. 글로벌 클러스팅 기능을 활용하여 국가별로 워크로드만 운영해 서비스 속도를 향상하고 운영비용을 최소화했다. 개발 및 테스트 시스템은 은행 내부 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 수행하고 있다. 당장은 국내에 퍼블릭 클라우드를 도입하려는 시도는 하지 않고 있다.

 

그는 “신한은행과 같이 전산 인프라나 인력을 갖춘 곳에는 퍼블릭 클라우드 도입을 통한 인프라 비용 절감이 큰 효과가 없다고 판단했다”며 “클라우드의 제대로 된 활용을 고민한 끝에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을 통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로 결론지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당초 오픈스택으로 구현하려던 클라우드 인프라 대신 기존 가상화 일부를 컨테이너 환경으로 전환키로 결정했다. 이미 오픈뱅킹 인프라에는 컨테이너를 적용했다. 또 빠른 시간 내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MS 애저스택을 도입했다.

 

김 팀장은 “무엇보다 오픈소스 주요 기술에 대한 내부적인 역량 확보가 중요하다고 판단, 변동성이나 개발 공수가 적은 부분은 SI성으로 진행한 반면 서비스, 메인 파트는 내부 직원들이 직접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현에 참여하도록 했다”며 “이를 위해 파트너 직원의 도움을 받아 직접 이를 구현해보는 페어 프로그래밍을 진행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번 프로젝트 말미에 오픈소스·클라우드팀을 만들어 (레드햇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스스로 플랫폼을 운영하는 역량을 갖추도록 했다”며 “이 팀은 내부에서 목표가 주어지지 않은 유일한 사례”라고 말했다. IT직원 대상의 테크랩도 운영, 레거시 시스템을 운영하는 직원도 클라우드에 대해 공부하도록 했다.

포스코ICT의 경우, 스마트 팩토리 확산 구축을 위해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을 구현한 사례다. 생산라인 빅데이터 플랫폼 ‘포스프레임’의 확산 요청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면서 인프라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포스코ICT 정동훈 팀장은 “처음에는 IaaS 중심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오픈스택을 설치,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며 “포스코는 2000년 초반부터 가상화 기술을 대거 적용했는데, 하둡 같은 빅데이터 플랫폼은 가상화로 올리지 못한 영역이 상당히 컸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올해 2월까지 컨테이너 기반의 PaaS 플랫폼을 구축하고 하둡 에코시스템과 RTP 영역 구축 및 자동화 구현, 이기종 인프라 통합 등을 추진했다.

 

정 팀장은 “생산관리시스템(MES) 분석 관련된 빅데이터 플랫폼이 핵심”이라며 “다만 컨테이너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일부 성능 이슈가 있었지만, 현재는 10~20% 가량 성능이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헬렌 킴 레드햇 아태지역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레드햇은 2018년부터 조직 운영방식에 오픈소스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며 “SW를 개발하는 오픈소스 방식이 협업에서도 큰 잠재력을 발휘해 혁신의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본 내용은 (주)디지털데일리(http://www.ddaily.co.kr)의 저작권 동의에 의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출처 : http://www.ddaily.co.kr/news/article/?no=186974]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