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초거대 AI 연구 가속화할 한국어 자연어이해 평가 데이터셋 ‘KLUE’, 어떻게 나왔나
support
게시글 작성 시각 2021-06-09 16:14:05
2021.06.09.
ⓒAI타임스 / 박성은
5월 한 달, 국내에서 자연어 분야 인공지능(AI) 연구 성과가 대거 등장했다.
네이버는 지난 5월 한국어판 GPT-3라고 불리는 대규모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를 발표했다. 같은 달 기업 대상 AI 컨설팅 스타트업 업스테이지에서는 한국어에 특화된 자연어이해(NLU) 평가 데이터셋 ‘KLUE(Korean Language Understanding Evaluation)’를 공개했다.
하이퍼클로바가 국내 대표적인 자연어생성(NLG) 모델이라면 KLUE는 해당 모델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데이터셋이다.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언어 이해가 필요한 만큼 KLUE가 한국어 AI 연구에 가져올 파급력은 크다.
(후략)
[원문 기사 :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8912 ]
번호 | 제목 | 조회수 | 작성 |
---|---|---|---|
9417 | 네이버클라우드, 오픈소스 후원자에서 참여자로 변신 | 5681 | 2021-06-11 |
9416 | “불확실성, 확실히 잡아줄게" ..IBM, AI 불확실성에 초점 맞춘 툴킷 ‘UQ360’ 공개 | 5344 | 2021-06-11 |
9415 | 네이버는 왜 5년 전 AI 반도체 스타트업에 투자했나 | 4851 | 2021-06-11 |
9414 | 자연어 처리 혁신의 최첨단을 이끄는 AI 스타트업 3곳 | 5517 | 2021-06-11 |
9413 | 질병 진단 속도와 정확도 두마리 토끼 잡았다...기계연, 초음파 영상 진단 장비에 머신러닝 접목 | 5011 | 2021-06-09 |
9412 | [분석]초거대 AI 연구 가속화할 한국어 자연어이해 평가 데이터셋 ‘KLUE’, 어떻게 나왔나 | 4846 | 2021-06-09 |
9411 | 바둑만 잘 두던 ‘알파고’는 비켜… ‘초거대 인공지능’ 뜬다 | 5172 | 2021-06-09 |
9410 | 대학생이 만든 코딩교육앱...교사들 "학력격차 해소 원더풀"[유니밸리] | 5236 | 2021-06-09 |
9409 | EBS, 클라우드 교육 사이트로 디지털세상에서 학력격차 해소 | 5204 | 2021-06-09 |
9408 | [주간 OSS 동향 리포트] 갈수록 어려워지는 오픈소스 보안, 구글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다 | 5228 | 2021-06-09 |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