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me > 열린마당 > 공개SW 소식

공개SW 소식

3주년 맞은 오픈스택, 한 창립멤버의 회고와 진단

OSS 게시글 작성 시각 2013-07-22 18:48:32 게시글 조회수 3704

2013년 07월 22일 (월)

ⓒ CIO Korea, Thor Olavsrud | CIO



오픈스택(OpenStack)이 지난 19일 세 번째 생일을 맞았다. 이 오픈소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플랫폼은 2010년 7월 아주 간단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출범했다. 유비쿼터스 오픈소스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퍼블릭,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제공한다는 아이디어였다.


2010년 7월, 랙스페이스(Rackspace)와 나사(NASA)가 기부한 코드로 출범한 오픈스택은 이내 IT업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오픈소스 기술로 자리매김했다. 최신 버전인 그리즐리(Grizzly)에는 각기 다른 200여 회사의 500여명의 인력이 기여했을 정도다.


개발자들은 지금껏 100만 줄이 넘는 코드를 제공해왔다. 이 스택에는 현재 120여 국의 7만 회 이상의 참여가 있었다. 매월 평균 238회에 이르는 수치다. 2010년 7월 개최된 첫 오픈스택 디자인 서밋 & 컨퍼런스(OpenStack Design Summit & Conference)의 참석자는 75명이었지만, 가장 최근에 열린 4월 행사에는 3,000명이 참석했고, 차기 행사에는 더 많은 인원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랙스페이스의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부문 부회장이자 오픈스택 재단(OpenStack Foundation)의 창립 멤버인 존 이고는 “오픈스택은 내가 참여했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성공적이다”라며, 지금껏 수십억 달러 소프트웨어 사업들에 관여해왔지만 “오픈스택의 성장세에 필적하는 것은 없다”라고 말했다.


3년 전에는 클라우드의 정의에 대해 토론
“3년 전 업계 내에서는 클라우드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를 놓고 뜨거운 토론이 있었다”라고 그 당시 델 데이터센터 솔루션(Dell Datacenter Solutions) 그룹에서 클라우드와 빅 데이터 솔루션 부문 수석 이사로 일하던 이고는 회고했다.


그는 “업계 내에서 우리가 본 것은 레거시 소프트웨어 환경과 레거시 컴퓨팅 환경을 가진 기업들이 그들의 기능성을 연장시키며 이를 클라우드라고 일컫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레거시-속성을 가진 아키텍처 기반에 클라우드-속성 아키텍쳐를 구축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이고는 이어 이러한 일부 기업들의 생각에는 위험스러운 부분이 있었다면서, 클라우드가 상용 스택 위에 구축됨에 따라 벤더 종속을 야기하는 한편, 잠재력 질식이 이어질 위험이 그것이었다고 전했다.


오픈스택의 등장은 상황을 반전시키는데 일조했다. 이후 HP, 델, IBM 같은 거대기업들은 물론 수많은 작은 기업들이 연산, 스토리지, 네트워킹 자원 풀 제어를 단일 대시보드를 통해 관리하기 위한 연관 프로젝트 시리즈를 제공함으로써 오픈스택은 그 영역을 넓혀갔다.


이 이니셔티브는 초창기 이래 긴 경로를 밟아왔다. 샌 안토니오에서 열린 첫 미팅에 앞서서, 랙스페이스의 프라이빗 클라우드 사업부문 전무이사이자 오픈스택의 성공을 주도했던 인사들 중 한 명인 짐 커리는 당시 델에서 일하던 이고에게 전화를 걸어 미팅에서 사용될 서버 랙 요청을 부탁했다.


이에 이고와 그의 동료들은 미팅에 장비를 제공하기 위해 말 운반용 트레일러를 대여해야 했다. 그것이 바로 오픈스택 소프트웨어를 구동한 첫 랙이었다. 이고는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당시 초창기에 미팅에 참석했던 사람들은 모두 소프트웨어 관련자들밖에 없었다. 완전히 개발자-중심 환경이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는 개별 개발자들이 미션에 등록하고 각자 코드 개발을 시작하지 않는 이상 성공할 수 없다.”


“우리는 거버넌스 절차도 없었다. 50명에서 100명의 엔지니어들이 한데 모여 클라우드 컴퓨팅이 어떤 모습을 갖춰야 할지 논의를 시작하는게 전부였다.”


오늘날 오픈스택 미팅은 대만원
그러나 오늘날 오픈스택 미팅은 미어터진다. 행사들은 항상 매진이다. 가끔 사람들은 입장권도 없이 어떻게든 입장하고 싶어서 지구 반대편에서 날아오곤 한다.


이고는 “매년 우리는 두 번의 서밋 미팅을 개최하는데, 매 서밋마다 규모가 두 배로 불어나고 있다. 서밋은 항상 매진이다”라고 말했다.


서밋 이사진의 일원인 이고는 매진된 행사에 참석하고 싶어하는 수많은 사람들로부터 입장권을 더 구할 수 없느냐는 연락을 받는다. 2013년 봄 포틀랜드(Portland)에서 개최된 서밋에서는 일본에 있는 동료로부터 입장권을 구해달라고 부탁 받았지만, 자신도 추가 입장권이 없다고 설명해야 했다.


“그들은 ‘우리는 어찌됐든 가겠다. 입구에서 기다리면 입장시켜줄지도 모르니…’라고 말한다. 이런 사람들이 행사장에 나타나면, 사실 재단측은 이들을 입장시켜준다. 이런 성장 유형은 오픈소스 커뮤니티계에서는 전무후무한 일이다”라고 그는 덧붙였다.
참석자들의 면면도 지난 3년간 변화했다. 초창기에 참석자들은 모두 개발자들이었다. 그러나 현재 사용자와 운용자들이 상당한 존재감을 보이고 있다.


이고는 “참석자들 구성도 진화했다. 여전히 기술적인 컨퍼런스지만, 아주 급속도로 사용자와 운용자들이 서밋에 참가하고 있으며, 관여도도 커졌다. 서밋은 더 이상 단순 기술 이니셔티브가 아닌 실제 운용 생산 이니셔티브가 되어가고 있다. 현재 초점은 사용자와 생산 환경에 맞춰져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오픈스택의 앞길에 수많은 어려움이 산적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오픈스택에서 개발된 상업적 이윤을 둘러싼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


이고는 “이니셔티브이자 오픈소스 프로젝트로써의 오픈스택은 괄목할만한 성공을 거두었다. 오픈스택이 다음 단계로 넘어갈수록, 조직들이 오픈스택을 상업적으로 사용하고 싶어한다는 점이 현재 우리가 직면한 문제다”라고 전햇다.


하지만 그는 이러한 상업적 관심이 타당하기도 하다면서 돈 문제에 있어서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사회와 재단은 적정선에 대한 경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경쟁이 어느 선까지는 좋고, 어느 선을 넘어서면 나쁜 것인지. 어느 선에서 우리가 혁신을 제약하지 않고 경쟁 장려와 수익실현을 할 것인지. 조직들이 기술에 관해 차별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오픈스택의 여덟 번째 메이저 버전인 하바나(Havana)는 10월 출시될 예정이다.




※ 본 내용은 한국IDG(주)(http://www.itworld.co.kr)의 저작권 동의에 의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ITWORLD.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출처 : http://www.ciokorea.com/news/17807]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