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포넌트 명 : Node.js
버전 정보 | 취약점 ID | 취약점 최종 보고일 | 심각도 |
---|---|---|---|
10.12.0 | CVE-2017-15896 | 2017/12/11 | 9.1 (Critical) |
취약점 ID : CVE-2017-15896
취약점 설명 | Node.js는 TLS 핸드셰이크 실패 때문에 SSL_read()를 사용하고 있어 OpenSSL 취약점 CVE-2017-3737에 영향을 받음, 그 결과 활성화된 네트워크 공격자가 TLS 인증과 암호화를 우회하는 방식으로 TLS나 HTTP2 모듈을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Node.js로 보낼 수 있음 |
---|---|
대응 방안 | OpenSSL-1.0.2n 버전을 Node.js에 적용 |
번호 | 컴포넌트 명 및 버전 | 취약점ID | 심각도 |
취약점 최종 보고일 |
대응방안 |
---|---|---|---|---|---|
32 | ModSecurity 2.9.2 | CVE-2013-5705 | 5.0 (Medium) | 2014/04/15 |
![]() |
31 | Jenkins 2.138.2 | CVE-2018-1999047 | 6.5 (Medium) | 2018/08/23 |
![]() |
30 | Heartbeat 3.0.4 | CVE-2014-0160 | 5.0 (Medium) | 2014/04/07 |
![]() |
29 | Zabbix 3.2 | CVE-2016-10134 | 9.8 (Critical) | 2017/02/16 |
![]() |
28 | Nagios 4.3.3 | CVE-2016-8641 | 6.1 (Medium) | 2018/08/01 |
![]() |
27 | R 3.5.1 | CVE-2016-8714 | 7.5 (High) | 2017/03/10 |
![]() |
26 | Node.js 10.12.0 | CVE-2017-15896 | 9.1 (Critical) | 2017/12/11 |
![]() |
25 | jmeter 5.0 | CVE-2018-1297 | 9.8 (Critical) | 2018/02/13 |
![]() |
24 | Python 3.6.3 | CVE-2017-1000158 | 9.8 (Critical) | 2017/11/17 |
![]() |
23 | PostgreSQL 1(RC1) | CVE-2018-10915 | 7.5 (High) | 2018/08/09 |
![]() |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