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표준 오픈소스DB 선정 작업 본격화…'탈 오라클' 여부 주목
2021.09.03.
ⓒ디지털데일리 / 이상일
은행권의 오픈소스 활용을 위한 표준 솔루션 선정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에 대비하고 오라클과 같은 상용SW의 높은 유지보수 요율로 인한 비용부담을 절감하기 위한 차원이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농협은행이 클라우드 DB 선정을 위한 기술검증(PoC)을 최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KB국민은행도 조만간 오픈소스 DB 표준을 정하기 위한 PoC를 3개월 일정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은행권에선 핵심 계정계와 같은 메인시스템을 제외한 부가 시스템의 수요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오픈뱅킹, 마이데이터 등 새로운 시스템들이 x86 기반의 오픈환경에서 구현되고 있다. 이미 국내 은행들의 해외지점의 경우 오픈소스 기반 DB로 핵심 계정계시스템이 구성되기도 했다.
향후 은행권에선 계정계를 비롯한 대부분의 시스템이 오픈환경으로 구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현실을 반영해 은행권에선 표준 오픈소스 DB를 선정해 시스템 안정성과 구축 효율성을 꾀하고 있다.
농협은행의 경우 최근 진행한 PoC를 통해 웹, WAS, OS 등에 대한 오픈소스 기술 검증을 시행한 것으로 전해진다.
티맥스소프트를 주관사로 선정해 진행한 이번 사업을 통해 향후 웹 기반과 웹애플리케이션 서버, 그리고 특히 윈도OS를 대체할 오픈 OS에 대한 기술 검증이 수행돼 주목된다. 향후 결과에 따라서 창구업무 PC운영체제에서 윈도를 대체할 오픈 OS 적용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민은행도 오픈소스 DB 표준화를 위한 PoC를 9월 초 진행한다. 이번 검증 사업에는 마리아DB, 마이SQL, 몽고DB, 티맥스, 인젠트 등의 업체가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에 선정된 DB들은 향후 은행의 주요 시스템 구축에 우선 고려사항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 업계 관계자는 “모 은행의 경우 3가지 티어(Tier)로 표준 솔루션을 나누고 있는데 1등급은 중요 시스템, 3등급은 단위 업무 시스템 식이다.
(후략)
[원문 기사 : http://www.ddaily.co.kr/news/article/?no=221231 ]
※ 본 내용은 (주)디지털데일리 (http://www.ddaily.co.kr/)의 저작권 동의에 의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주)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번호 | 제목 | 조회수 | 작성 |
---|---|---|---|
공지 | [Open UP 활용가이드] 공개SW 활용 및 개발, 창업, 교육 "Open UP을 활용하세요" | 342904 | 2020-10-27 |
공지 | [Open UP 소개] 공개SW 개발·공유·활용 원스톱 지원 Open UP이 함께합니다 | 332688 | 2020-10-27 |
9571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11서 안드로이드앱 지원 임박...준비 착수 | 4398 | 2021-09-08 |
9570 | [주간 OSS 동향 리포트] 은행권, 표준 오픈소스DB 선정 작업 본격화…'탈 오라클' 여부 주목 | 4767 | 2021-09-07 |
9569 | 구글 텐서플로우, 취약점 패치 위해 YAML 지원 종료 | 4978 | 2021-09-07 |
9568 | 마이크로소프트, 자바 GC툴킷 오픈소스로 공개…JVM 메모리 상태 고급 분석 가능 | 4487 | 2021-09-07 |
9567 | 인공지능‧가상현실‧증강현실 등 3D 재구성 위한 대규모 데이터 세트... 페이스북 AI, 'CO3D‘ 오픈 소스로 공개 | 4793 | 2021-09-06 |
9566 | VS 코드 1.60 출시··· 자동 언어 감지 제공 | 4283 | 2021-09-06 |
9565 | 자동화 툴은 범람 중··· RPA 도구 21종 라운드업 | 6484 | 2021-09-06 |
9564 | 은행권, 표준 오픈소스DB 선정 작업 본격화…'탈 오라클' 여부 주목 | 4526 | 2021-09-03 |
9563 | 파이썬 런타임 대체 ‘피스톤’, 아나콘다 지원받는다 | 4472 | 2021-09-03 |
9562 | 데이터브릭스, 16억달러 추가 투자 유치..."기업 가치 380억달러" | 4050 | 2021-09-03 |
0개 댓글